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7탄은 욕실 인테리어에 대한 내용이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타일에 관한 내용을 언급했던지라 이번 포스팅에서는 욕실에 들어가는 각종 자재들을 소개하고 욕실 인테리어 견적을 위한 용어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시공을 위한 용어들은 제외하고 일반 소비자들이 알아두면 좋을 용어들로 선별해보았다.
첫번째, 욕조를 설치할지, 파티션을 설치할지, 샤워부스를 설치할지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생활방식을 고려하여 욕조, 파티션, 샤워부스를 택해야 한다.
욕조는 물을 받아 사용하는 위생도기로 대부분 아크릴 소재로 되어 있다. 이동식 욕조나 타일로 만든 조적 욕조 등 다양한 디자인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자인은 옆면 에이프런이 있는 붙박이 형태의 디자인이다. 대부분의 아파트에는 욕조가 기본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기존의 욕조를 철거하고 방수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욕조 옆면에 타일로 시공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타일로 시공하는 이유는 욕실과 통일감을 주어 매립되어 보이는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인데, 보통 타일은 벽타일로 많이 통일하고 취향에 따라 바닥 타일로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파티션은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샤워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샤워부스와 같이 문이 달려 공간 전체를 막아주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물이 튀는
현상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최근에 가장 많이 시공을 하는 형태이며 가격도 욕조나 샤워부스에 비해 저렴하다. 파티션은 유리로 되어 있어 충격을 가하면 깨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제품은 강화유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면서 깨질 일은 적다. 강한 충격을 가하면 깨질 수 있으니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
샤워부스는 파티션과 다르게 문이 달려 공간을 구분해주는 기능을 한다. 파티션에 비해 물이 덜 튀기 때문에 건식으로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에게 좋은 디자인이다. 다만 샤워부스는 타일과 만나는 부분을 실리콘으로 마감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물때가 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습기가 잘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샤워부스의 상단은 뚤려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두번째, 위생도기의 종류와 브랜드를 선택해야한다. 욕실에 들어가는 위생도기는 양변기와 세면기가 있다. 대표 브랜드로는 대림바스, 아메리칸스탠다드, 로얄앤컴퍼니, 이누스, 계림 등이 있다. 형태와 브랜드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양변기는 걸쳐 앉아서 볼일을 보는 위생도기로 서양식 변기, 좌변기로도 불린다. 모양과 기능에 따라 원피스 형태, 투피스 형태, 도기 일체형 비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기 일체형 비데는 비데와 양변기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로 비데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제품이다. 원피스 양변기는 양변기의 상단과 하단이 하나로 합쳐진 형태로 상단과 하단이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쉽다. 투피스 양변기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로 상단과 하단이 구분되어 있다. 이외에 하단 모양에 따라 치마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은 투피스 치마형 양변기이다.
세면기는 손이나 얼굴 등을 씻을 때, 물을 담아서 사용하는 용기로 세면 개수대라고도 불린다. 세면대는 긴다리형 세면기, 반다리형 세면기, 일체형 세면기, 탑 카운터 세면기, 언더 카운터 세면기, 탑볼형 세면기로 구분된다. 긴다리형 세면기와 반다리형 세면기는 페데스탈 세면기(반페데스탈)라고도 불리우는데, 배관(트랩) 커버가 있어 커버로 가려주는 형태이다.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는 않는다. 일체형 세면기는 커버와 세면대가 하나로 된 형태로 깔끔하고 청소가 비교적 쉬워 가장 인기가 좋은 제품이다. 탑 카운터 세면기는 대리석이나 원목 상판에 세면대가 일부 매립된 형태이고 언더 카운터 세면기는 상판에 완전히 매립된 형태를 말한다. 이런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장과 상판을 함께 시공해주어야 하고 기본 세면기 디자인에 비해 가격대가 높은 편이다. 탑볼형 세면기는 상판 위에 얹어 독립된 형태로 사용하는 세면기이다. 세련된 디자인으로 고급 인테리어나 백화점 욕실 등에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다.
욕실인테리어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 계속-
'인테리어 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8탄(주방) (0) | 2021.05.14 |
---|---|
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7탄(욕실2) (0) | 2021.05.05 |
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6탄(타일) (0) | 2021.05.02 |
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5탄(필름, 페인트, 전기) (0) | 2021.05.01 |
인테리어 공정별 고려해야 할 사항 4탄(목공) (0) | 2021.04.30 |